목이 아프고 불편함이 있는 것을 인후통이라고 한다. 인후통의 원인에는 공기 중의 먼지와 꽃가루, 과도한 발성, 과도한 흡연 및 음주, 감기, 독감 및 편도선염과 같은 박테리아 또는 바이러스 감염의 두 가지 유형이 있다.
인후(목구멍)의 구조
인후(목구멍)는 코 뒤쪽(비강)에서 성대가 있는 기관 입구까지 공기가 통과하고 입에서 식도로 음식이 통과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며 인두와 후두로 구성됩니다. 인두는 코 뒤쪽에서 식도 입구까지의 부분을 말하며 비인두, 구강 인두, 하인두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후두는 소위 성대를 말하며, 목구멍 입구의 양쪽에는 편도선(정확하게 구개 편도선)이 있다.
인후의 역할
인후(목구멍)의 역할은 호흡, 음식물 삼키기, 발성의 세 가지 역할이 있다. 이 세 가지 역할을 수행하면서 목을 통해 들어온 이물질을 점액에 부착시켜 섬모 운동에 의해 밖으로 보내는 방어 시스템이 갖추어져 있다.
일상적인 생활에서 인후통
목구멍은 자연적으로 방어 반응을 갖지만 담배 연기, 꽃가루, 먼지 등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목에 염증이 생겨 신경을 자극하고 인후통을 유발하게 된다. 노래방에서 노래를 너무 많이 부르거나 말을 계속하는 등 목구멍의 과로 후 인후통도 염증 때문이다. 또한 과도한 음주도 목구멍에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공기가 건조하면 목구멍에 인후통을 느낄 수 있다. 건조로 인해 코와 목의 섬모 주변에 수분이 부족하면 섬모의 움직임이 느려지고 앞서 이야기한 목구멍의 방어 기능이 저하된다. 이로 인해 흡입된 공기 중의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목구멍에 염증을 유발하고 따라서 인후통이 발생한다. 겨울에는 건조한 날씨에 의해, 반면에 여름에는 지속적인 에어컨 사용에 의해 목이 건조해져 인후통이 발생할 수 있다.
질병에 의한 인후통
음주, 흡연, 과음 등 목에 직접적인 자극이 없을 때 인후통이 발생하면 감기와 같은 바이러스나 박테리아 감염 등 질병을 의심해야 한다. 인후통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라이노 바이러스, 코로나 바이러스, RS 바이러스, 파라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그리고 엔테로바이러스 등이 있다. 아데노바이러스 또한 인후통을 유발하며, 독감바이러스(A, B, C형) 역시 인후통의 원인이 된다.
인후통의 예방
인후통을 예방하려면 무엇보다 목구멍에 부담을 주지 않는 생활 습관이 중요하다. 노래방에서 계속 말하거나 노래를 부르면 금방 목이 다칠 것이다. 음주와 흡연은 인후통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목을 돌보는 생활 방식을 개발해야 한다. 또한 마스크와 주변 청결을 통하여 목구멍에 이물질이 들어오는 것을 최소화해야 한다.
무엇보다 입안과 목구멍의 습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 수면 시 구강호흡은 반드시 고치는 것이 좋다. 입으로 숨을 쉬면 입안과 목구멍의 타액이 증발하고 입안 및 목구멍이 건조해진다. 따라서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어렵게 되며, 이로 인해 감기에 걸릴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코를 이용해서 제대로 숨을 쉬는 데 어려움이 있고 무의식적으로 자주 입이 열려서 입안과 목이 건조해지기는 경우 이비인후과를 방문해서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을 추천한다. 또한 따뜻한 차를 마시는 것도 입안과 목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으며 양치질 역시 도움이 된다. 양치질의 경우 입과 목의 습도를 유지한 것에 도움을 주지만 이물질로부터 목구멍을 보호하는 역할도 있다. 겨울 같이 건조한 계절에는 가습기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마지막으로 면역력을 약화시키지 않는 생활 습관을 가져야 한다. 영양적으로 균형 잡힌 식단, 적절한 운동, 충분한 수면과 규칙적인 생활을 통하여 면역력을 유지해야 한다.
'일상의 궁금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TV의 종류와 차이(Feat.TV 구매 가이드 Part.1) (0) | 2023.01.03 |
---|---|
위의 소화 불량 원인 (0) | 2022.12.29 |
화상의 원인 (0) | 2022.12.28 |
상처와 화농성 상처의 원인 (0) | 2022.12.28 |
독감의 원인과 증상(인플루엔자) (0) | 2022.12.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