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의 궁금함

동창의 원인 및 예방

by 봉c 2022. 12. 22.
반응형

 동창은 겨울의 추위로 인한 혈액 순환 잘 되지 않을 때 발생한다. 추위를 막을 수 있도록 방한 대책을 잘 세우고 마사지를 하며 평소에 예방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동창의 발생 메커니즘과 원인

 우리 몸은 체온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예를 들어, 추위를 느끼면 그 정보가 뇌에 도달하고 뇌의 시상하부(자율 신경)가 혈관을 수축시키고 혈액이 너무 많이 흐르는 것을 방지하도록 명령한다. 이것은 피부 표면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고 열이 몸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반대로 뜨거워지면 혈관이 확장되고 혈액이 더 많이 흘러 피부 표면 온도가 상승하고 땀이 배출해서 몸에서 열을 방출한다. 그러나 추위와 따뜻함의 반복적인 자극과 혈관의 반복적인 수축 및 확장은 혈액 순환 장애를 유발한다. 특히 사지 등 말초혈관의 혈액순환조절이 어려워져 피부에서 붉어짐, 부종, 가려움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이것은 가벼운 동상 상태이며, 동창이라고 한다. 일일 기온차가 10도 이상일 때 발생하기 쉽고, 늦가을부터 초겨울, 늦겨울부터 초봄까지 기온차가 큰 계절에 자주 나타난다. 또한 땀을 흘리거나 물 작업을 한 후 피부를 젖게 두면 수분이 증발하면서 피부 온도가 급격히 떨어지기 때문에 동창이 생기기 쉽다.

동창과 동상의 차이

 동창과 동상을 혼동하는 사람이 많다 둘 다 추위에 노출되면 발생하는 증상지만 이 두 가지는 완전히 다르다. 동창은 일상적인 차가움에 의한 혈액 순환의 장애로, 생활상의 궁리나 주의로 예방할 수 있고, 치료도 초기라면 시판약으로 셀프케어가 가능하다.

 반면에 동상은 기온이 -4도 이하의 상황, 예를 들면 겨울의 설산 등 빙점하가 되는 엄격한 추위에 장기간 노출됨으로써 일어난다. 저온에 의해 몸의 조직이 동결하여 혈액 순환이 완전히 끊어져 버리기 때문에, 중증화되면 그 부분이 괴사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게 되는 등, 대처법이나 예후도 다르다.

동창의 예방

 동창은 결국 추위 때문에 발생한다. 따라서 외출 시 장갑과 귀마개를 착용하고 외출할 때 두꺼운 양말을 착용하는 등 추위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 그래서 팔다리, , 뺨과 같은 맨살이 찬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몸을 따뜻하게 하는 음식을 먹거나 뜨거운 음료를 마시고 천천히 목욕하는 등 내부에서 몸을 따뜻하게 하는 조치를 취해야 한다. 그리고 몸이 따뜻하고 땀이 났을 때 그대로 두거나 팔다리를 젖은 상태로 두면 수분이 증발하면서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 온도차로 인해 동창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땀을 흘린 후에는 장갑과 양말을 바꿔 신고, 물이 묻는 작업이나 손 씻기 후에는 물기를 깨끗이 닦아내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외출하고 따뜻한 방으로 돌아갈 때나 난방이 잘된 방에서 두꺼운 옷을 입고 시간을 보낼 때도 땀이 나기 쉽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혈액 순환 촉진 방법

 동창은 혈액 순환이 잘 되지 않아 발생하므로 목욕을 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고 목욕 중과 목욕 후에 손가락과 발가락을 마사지하여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것도 중요하다. 압박은 혈액 순환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꽉 끼는 신발을 착용하지 말아야 한다.

 비타민 E는 말초 혈관을 넓히고 혈액 순환을 개선하는 기능이 있습니다. 장어, 땅콩, 아몬드, 식물성 기름, 달걀노른자와 같은 비타민 E가 많은 음식을 섭취를 추천한다. 또한 열에너지의 원천 인 단백질 (콩 제품, 생선 등)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매년 추워지면 동창에 걸리면 가을쯤부터 비타민 E를 섭취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반응형

댓글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