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설날은 한 해 시작인 음력 1월 1일을 의미하며 추석과 함께 우리나라의 최대 명절입니다. 설날에는 온 친척이 모여서 맛있는 음식을 먹고, 조상에게 차례를 지냅니다. 이번에는 설날의 유래와 설에 먹는 음식 등 간단한 정보와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 차례상을 차리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개요
설은 한 해의 시작인 음력 1월 1일을 일컫는 말로 우리나라의 최대 명절입니다. 원일·원단·정조 등 여러 명칭이 있다. 설은 시간적으로는 한 해가 시작되는 새해 새 달의 첫날인데, 한 해의 최초 명절이라는 의미도 있고 대보름까지 이어지는 민족 최대의 명절이었습니다.
과거에서부터 설의 기록을 살펴보면 설은 삼국시대 문헌에서부터 그 기록이 보이며, 설 명절 관련 세시풍속 또한 풍성했었습니다. 새해 새 달의 첫날이라 신성한 날이라는 신앙적 의미가 컸지만 오늘날은 설 관련 세시풍속들은 사라지고 조상에 차례를 지내는 것만 남았습니다.
차례상 차리는 법
차례는 명절에 지내는 간소한 제사를 의미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현대인들은 제사상과 차례상의 차이를 두고 있지 않습니다.
차례상은 방위에 따라 음식을 놓으며 5열의 차례상을 기준으로 놓습니다. 각각의 열에 놓는 음식은 정해져 있으며 놓는 방향 또한 규칙이 있습니다. 이 부분을 정리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 첫째 열 : 밥과 국을 놓으며, 설날 차례상에는 떡국으로 대신할 수 있습니다.
- 둘째 열 : 어동육서와 두동미서에 따라 고기와 생선을 놓습니다.
- 셋째 열 : 탕류
- 넷째 열 : 나물, 백김치, 포, 식혜를 놓으며 왼쪽 끝에는 포, 오른쪽 끝에는 식혜를 놓습니다.
- 다섯째 열에는 과일, 한과를 놓습니다. 다른 과일일 경우 홍동백서에 따라 놓습니다.
음식을 놓는 규칙
-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에, 고기는 서쪽에 놓아야 한다. (2열)
- 두동미서 :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놓아야 한다.(2열)
- 좌포우혜 : 왼쪽 끝에는 포, 오른쪽 끝에는 식혜를 놓습니다. (4열)
- 홍동백서 : 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놓습니다. (5열)
성균관 차례상
2022년 성균관 측에서 반드시 기름에 튀기거나 지진 음식을 차례상에 올릴 필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 성균관이 공개한 표준안에서의 음식은 6가지면 충분하며 음식이 놓는 위치는 가족이 상의해서 정하면 된다고 했습니다.
성균관에서 발표한 차례상은 추석을 앞두고 발표한 것이라 송편이 올라갔지만, 설날에는 송편 대신 떡국을 놓으면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현대인에게 제사와 차례의 의미가 많이 흐릿해지고 있는 요즘, 차례상도 간소화해서 가정의 평화를 유지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맺음
지금까지 설 차례상을 차리는 법을 알아보았습니다. 최근에 차례상을 안 차리는 집안도 많이 늘어났고, 명절을 가족과 휴식을 보내기 위해 그 기간 동안 여행도 가는 사람들도 늘었습니다.
명절을 어떻게 보내는지는 각 가족의 선택입니다. 하지만 차례상을 차리는 것에 집중하는 것보다는 사랑하는 가족과 오랜만에 만나서 화목한 시간을 잘 보내는 것이 좋지 않을까요?
'일상의 궁금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의 구조와 장단점(Ft. 문과도 이해할 수 있는 전기차) (0) | 2023.01.07 |
---|---|
LG TV의 종류와 특징_LCD편_23년 1월(Ft. TV 구매 가이드 Part.2) (0) | 2023.01.06 |
TV의 종류와 차이(Feat.TV 구매 가이드 Part.1) (0) | 2023.01.03 |
위의 소화 불량 원인 (0) | 2022.12.29 |
인후통의 원인 (1) | 2022.12.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