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의 궁금함

천식의 원인

by 봉c 2022. 12. 5.
반응형

천식의 정의

 쌕쌕거림, 심한 기침, 호흡 곤란은 천식의 증상이다. 천식 환자의 기관지를 포함한 호흡기의 점막에는 호산구(백혈구의 일종)와 림프구를 중심으로 한 세포가 모여 발작이 가라앉아도 염증이 발생한다. 따라서 기관지를 둘러싼 근육은 약간의 자극으로 수축하고 공기의 통과하는 길을 좁히는 기도 폐쇄가 발생한다. 천식의 증상으로는 목 구먹에서 쌕쌕거리는 소리, 호흡 곤란, 발작성 심한 기침, 가래, 가슴 통증, 허리 긴장 등이 있다.

천식의 원인

 어린이의 천식은 소년에게 비교적 흔하며 거의 항상 알레르기로 인해 발생한다. 초등학교 고학년 무렵부터 발작이 사라지는 경우도 있지만 20~30대에 재발할 수 있다. 성인의 경우 6~8%가 성인기에 처음 발병한다. 소아의 천식에 비해 원인을 명확히 규명할 수 없는 경우가 많다고 알려져 있다. 알레르기에 의해 발생하는 원인은 진드기, 먼지, 애완동물, 꽃가루, 특정 음식 등이 있으며 비알레르기 유발 인자는 운동, 담배, 과로와 스트레스, 감기 및 다른 전염병, 대기 오염, 향수 냄새 등이 있다. 

감기로 인한 기침이 천식으로 발전할 수 있다.

 감기 등의 전염병이 완치되더라도 기침이 장시간 (발병 후 8 주 이상) 계속되면 기침 천식의 위험이 있다. 기침 천식은 자정부터 새벽까지 발생하는 심한 기침을 유발하고 기도가 자극에 과민 반응을 일으키고 알레르겐이 기침을 유발하며 계절에 따라 악화된다는 점에서 천식과 매우 유사하다. 그러나 쌕쌕거림이나 호흡 곤란을 동반하지 않고 가래가 많이 얽히지 않는다는 차이점이 있다. 

천식의 처방

약물 요법으로서 흡입 스테로이드는 발작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장기 제어 약물로서 1 차 약물이다. 흡입 코르티코 스테로이드와 함께 사용되는 장기 제어 약물에는 지속형 흡입 베타 2- 작용제,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및 테오필린 연장 방출 약물이 포함된다. 장기 관리 약물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으로 기도 염증을 줄이는 것이며 그 결과가 나타나는데 시간이 걸릴 수 있다. 천식이 발생하면 즉시 기관을 확장하고 증상을 완화해야 한다. 속효성 흡입 β 각성제와 같은 속효성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을 해야 한다.

천식의 예방

 기본적으로 천식을 유발하는 원인을 제거하는 것으로 예방한다. 진드기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지 않아야 한다. 흡연을 철저히 피하고 가능한 전염병을 피해야 한다. 그리고 알레르기와 전염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마스크 사용을 추천한다. 알코올도 천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음주도 피해야 할 항목이다. 마지막으로 자신의 생활을 관리한다. 식습관, 스트레스, 비만도 천식의 원인 될 수 있다. 일상 속에 손쉬운 운동(수영, 걷기, 자전거 타기 등)으로 심폐기능을 향상한다.

반응형

'일상의 궁금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관절통의 원인과 대책  (0) 2022.12.07
요통의 원인  (0) 2022.12.06
눈의 피로의 원인 및 예방  (0) 2022.12.05
치주 질환의 원인  (1) 2022.12.03
치아의 황변의 원인  (0) 2022.12.02

댓글


loading